‘펜화로 읽는 한국 문화유산’ 펴낸 김영택 화백 인터뷰-서울신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17-05-13 14:58 조회3,201회 댓글0건본문
‘펜화로 읽는 한국 문화유산’ 펴낸 김영택 화백 인터뷰
전남 해남의 미황사 주지 금강스님은 김영택(72) 화백의 대웅보전 펜화를 보고 “사진으로도 표현되지 않는 미황사의 미(美)가 그림으로 전해진다”고 벅차했다. 갤러리 학고재의 우찬규 대표는 그의 펜화에서 “조선백자 냄새가 난다”고 말했다.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3분의1인 ‘0.03㎜ 선’이 창조하는 미학. 일본인 비평가는 그의 작품을 가리켜 독자적 일가를 이룬 장인에 빗대 ‘김영택류(流)’라고 평가했다.

▲ 김영택 화백.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 김영택 화백의 펜화 ‘해남 달마산 미황사 대웅보전’. 마치 줌 렌즈로 당겨 본 듯 담긴 달마산의 기암괴석과 미황사 대웅전이 어울려 아름다운 운치를 드러낸다.
김영택 화백 제공
‘책을 보는 순간 공력이 범상치 않다고 느꼈다’고 건네자 김 화백은 “20년어치의 세월이 담긴 작품들을 담았으니 그럴 법도 하다”며 “친구인 출판사 사장이 ‘당신 그림을 많은 사람들이 보고 즐기고, 느껴야 하지 않겠느냐’며 책에 그림을 최대한 많이 싣자고 한 결과”라고 말했다.
홍익대 미대 출신의 산업 디자이너였던 그는 1995년 세계 디자인 비엔날레에 참석했다가 프랑스에서 본 펜화에 매료돼 펜화가로 전업했다. 그동안 그린 작품은 300점. 1점당 가격이 2000만원에 달하는 작품이 적지 않지만 상당수가 그를 떠나 주인을 찾았다. 그만의 화법은 무엇일까. 김 화백은 ‘순천 선암사 승선교’ 작품을 꺼냈다. “장대석인 승선교 아치뿐 아니라 쌓아 올려진 돌 하나, 사이 사이 끼어넣은 잡석 개수까지 실제와 똑같아요. 사물이 가진 진면목을 정확하게 표현하자는 주의죠. 그러면 ‘김영택의 승선교’가 아닌 그 자체가 승선교인 그림이 됩니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